고려: 최씨무인정권의 성격(1) 최충헌

이제 무신난이 일어나고 26년 째 접어듭니다. 1196년(명종 26년) 최충헌과 최충수 형제가 이의민을 제거하는 ‘병진정변’이 일어납니다. 그 뒤 최충헌이 자기 동생 최충수를 제거하고 권력을 잡은 이후로 최충헌 그리고 그의 아들 최우, 최항, 최의로 이어지는 4대 60년간 무인집정인 무인정치시대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다시 말해 단일가문이 고려 조정을 장악하게 되는 역사상 유례없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와 유사한 상황은 조선 후기 […]

고려: 최씨무인정권의 성격(1) 최충헌 Read More »

고려: 무신정변이 일어난 후(2) 이의민

1170년의 무신정변 이후 경대승을 포함하여 3번의 집권기가 바뀌고 경대승 사후 이의민이 집권을 하게됩니다. 오늘은 이 시점을 기준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겠습니다. 1. 이의민의 집권 이렇게 복고 뜻을 가지고 무신난에 참여하지도 않고 무신들과 관계가 별로 좋지 않았던 경대승이 갑자기 병사를 하고 나자 명종의 입장에서는 안정적으로 권력을 잡고 자기 자신의 왕위를 지켜줄 새로운 세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 중 이의민이라는

고려: 무신정변이 일어난 후(2) 이의민 Read More »

고려: 무신정변이 일어난 후(1) 이의방·정중부·경대

무신정변이 일어나서 드디어 무인들이 권력을 잡게 되었습니다. 무신정변이 일어났을 당시에는 몇몇의 무인들이 힘을 합쳐서 난을 일으켰지만, 난에 성공하고 나서는 권력은 한 사람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었습니다. 1. 무신정변의 진행 1.1. 온건세력과 강경세력 무신정변이 일어났을 때 중심인물은 정중부, 이고, 이의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중 정중부는 고급장교이고 상당히 난의 명분을 쥐고 있는 사람이기도 하고, 또 김돈중으로부터

고려: 무신정변이 일어난 후(1) 이의방·정중부·경대 Read More »

고려: 역사적 사실로 보는 무신정변

오늘은 무신정변의 발발배경 혹은 발생 과정, 결과와 같은 내용들을 사료를 참고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사료를 차근차근 읽다보면 무신정변을 한번보면 까먹지 않게 될 것입니다. 1. 무신정변의 발생 무신정변은 1170년(의종 24년) 8월 30일(정축) 당시 상장군이었던 정중부와 하급 장교인 이의방, 이고, 채원 이의민 등이 개경 근처의 보현원에서 일으킨 쿠데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무신들이 일으킨 정변이기 때문에 무신의 난

고려: 역사적 사실로 보는 무신정변 Read More »

전체주의: 전체주의로 알아보는 민주주의

지금도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마다, 민주주의에 대한 회의론이 인기를 얻게 되고, 과거 전체주의, 독재 시절에 대한 향수를 보이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됩니다. 이는 마치 혼란스러운 민주주의인가, 질서 정연한 전체주의인가를 선택하라고 하는 것 같이 느껴질 수가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전체주의를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왜 민주주의를 해야 하는 걸까?, 과연 민주주의가 절대 선인가? 라는 질문으로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민주주의는

전체주의: 전체주의로 알아보는 민주주의 Read More »

방어적 민주주의: 국가 안전과 자유의 균형

1. 방어적 민주주의의 기초논리 1.1.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는 민주주의가 실현시켜야 할 가치들의 최대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을 소극적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는 방어적 민주주의를 통해서 구체화 됩니다.이것은 “전투적 민주주의” 또는 “투쟁적 민주주의”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1.2. 방어적 민주주의의 기초 논리 방어적 민주주의는 민주주의를 파괴하려는 민주주의의 적으로부터 자신을

방어적 민주주의: 국가 안전과 자유의 균형 Read More »

Scroll to Top